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형사 판결문] 울산지방법원 2019고단2244, 2019고단4568(병합), 2020고단1019(병합), 2020고단1646(병합), 2020고단2099(병합), 2020고단4211(병합), 2020고단5062(병합), 2021고단82(병합), 2021고단207(병합), 2021고단2005(병합), 2021고단2008(병합), 2021고단2321(병합), 2021고단2855(병합), 2021고단3966(병합), 2021고단4301(병합), 2022고단
    법률사례 - 형사 2025. 1. 20. 01:10
    반응형

     

    [형사] 울산지방법원 2019고단2244, 2019고단4568(병합), 2020고단1019(병합), 2020고단1646(병합), 2020고단2099(병합), 2020고단4211(병합), 2020고단5062(병합), 2021고단82(병합), 2021고단207(병합), 2021고단2005(병합), 2021고단2008(병합) - 최저임금법위반, 근로기준법위반,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업무상횡령.pdf
    0.13MB
    [형사] 울산지방법원 2019고단2244, 2019고단4568(병합), 2020고단1019(병합), 2020고단1646(병합), 2020고단2099(병합), 2020고단4211(병합), 2020고단5062(병합), 2021고단82(병합), 2021고단207(병합), 2021고단2005(병합), 2021고단2008(병합) - 최저임금법위반, 근로기준법위반,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업무상횡령.docx
    0.01MB

     

     

     

     

    - 1 -

    2019고단2244, 2019고단4568(병합), 2020고단1019(병합), 2020

    고단1646(병합), 2020고단2099(병합), 2020고단4211(병합),

    2020고단5062(병합), 2021고단82(병합), 2021고단207(병합),

    2021고단2005(병합), 2021고단2008(병합), 2021고단2321(

    ), 2021고단2855(병합), 2021고단3966(병합), 2021고단4301

    (병합), 2022고단493(병합), 2022고단1955(병합)

    최저임금법위반, 근로기준법위반,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업무

    상횡령

    A (80****-1), 운수업

    유옥근(기소), 정현혁(공판)

    법무법인 법고을

    담당변호사 김석환

    2022. 10. 12.

     

    피고인을,

    판시 1 내지 5, 7 별지3 범죄일람표()에서 정기지급일이 2019. 1.

    10. 확인되는 부분들, 8, 13 별지6 범죄일람표 순번 1, 2, 27

    - 2 -

    순번 241) 대하여 징역 2개월에,

    판시 6, 7 별지3 범죄일람표()에서 정기지급일이 2019. 5. 4. 이후로

    확인되는 부분들, 9 내지 12, 13 별지6 범죄일람표 순번 3, 14 내지

    17, 18 내지 222), 23 내지 26, 27 순번 1 내지 23, 25 내지 563)

    대하여 징역 3 10개월에,

    처한다.

    사건 공소사실 ,

    2019고단2244 사건의, 별지1 범죄일람표(2) 순번 2 내지 7, 9 내지 14, 16 내지 21,

    26 내지 28, 30, 31, 33, 34, 36 내지 42, 44 내지 47, 49, 51 부분, 별지1 범죄일람

    (3) 순번 2, 3, 6, 7, 11 내지 13, 15 내지 18, 21, 25, 26, 28, 29, 31, 32 부분,

    태선에 대한 연장근로수당 858,690 미지급 부분, 별지1 범죄일람표(5) 순번 1 내지

    7, 9 내지 14 부분,

    2020고단1019 사건의, 별지3 범죄일람표() 부분, 별지3 범죄일람표() 순번 2, 4,

    5, 11, 14, 16, 18, 20 내지 27, 29 내지 31, 33, 35, 38, 39, 41, 42, 45 부분,

    2020고단1646 사건의 별지4 범죄일람표순번 2, 5, 7 부분,

    2020고단2099 사건 부분,

    2021고단82 사건의 별지6 범죄일람표순번 1 내지 4, 8, 10, 12, 16, 20, 24, 29,

    31 내지 34, 41, 42, 44, 47 내지 52, 55, 56, 58, 60 내지 62, 65, 68 내지 70, 77

    내지 79, 82, 86 내지 88, 90 내지 93, 95, 99, 100, 102, 105, 107 내지 109, 111

    1) 피해자 0윤에 대한 부분으로 포괄일죄로 보되, 최종횡령시가 2019. 4.이므로 판시 전과와 후단경합범
    2)
    판시 18 내지 22죄의 경우 피해자별 포괄일죄로 보되, 피해자별 최종범죄시가 2019. 5. 4. 이후이므로 판시 전과

    후단경합범 관계 아님
    3)
    판시 27 순번 1 내지 23, 25 내지 56 부분의 경우 피해자별 포괄일죄로 보되, 피해자별 최종횡령시가 모두

    2019. 5. 4. 이후이므로 판시 전과와 후단경합범 관계 아님

    - 3 -

    내지 128 부분,

    2021고단2005 사건 B(C) 대한 부분,

    2021고단4301 사건 별지13 범죄일람표 기재 순번 1 내지 8, 11 내지 13, 15

    18, 22, 25 내지 27, 29, 31 내지 34, 36, 37, 41, 44 내지 46, 49 내지 53, 55,

    56, 61 내지 63, 65 내지 67, 69, 71, 73, 75 내지 77, 84, 91, 97, 98, 101, 104,

    109, 111, 112, 115, 116, 118, 119 부분에 대한,

    공소를 기각한다.

     

    피고인은 2019. 4. 26. 울산지방법원에서 근로기준법위반죄 등으로 징역 6월에 집행

    유예 1년을 선고받고 판결이 2019. 5. 4. 확정되었다.

    2019고단2244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시내버스여객 자동차운송사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D

    식회사의 대표이사이다.

    1. 최저임금법위반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2017. 1.경부터 2018. 6.경까지 근로자 E에게 매월 임금을

    지급하면서 최저임금액에 미달하는 시간급 6,030원을 지급한 것을 비롯하여 별지1

    죄일람표(1) 기재와 같이 근로자 7명에게 연도별 최저임금 이하의 금액을 지급하였다.

    2. 임금 정기지급 관련 근로기준법위반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임금 정기지급일인 2016. 6. 15. 근로자 F에게 휴일근로

    - 4 -

    수당 75,879원을 지급하지 아니한 것을 비롯하여 그때부터 2018. 11. 15.경까지 별지1

    범죄일람표(2) 순번 1, 8, 15, 22, 23, 24, 25, 29, 32, 35, 43, 48, 50 기재와 같이

    근로자 13명에게 휴일근로수당 합계 1,644,603원을 임금 정기지급일에 지급하지 아니

    하였고, 임금 정기지급일인 2018. 10. 15. 근로자 G에게 연장근로수당 1,200,960원을

    지급하지 아니한 것을 비롯하여 때까지 별지1 범죄일람표(3) 순번 1, 4, 5, 8, 9,

    10, 14, 19, 20, 22, 23, 24, 27, 30 기재와 같이 근로자 14명에게 연장근로수당합계

    12,378,370원을 임금 정기지급일에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3. 연장근로수당 미지급 관련 근로기준법위반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2014. 11. 7.경부터 2016. 7. 8.경까지 근무하다 퇴직한

    로자 H 연장근로수당 634,050원을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한 것을

    비롯하여 별지1 범죄일람표(4) 순번 1, 3 내지 22 기재와 같이 근로자 21명에게 연장

    근로수당 합계 14,037545원을 당사자간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퇴직일로

    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4. 퇴직금 미지급 관련 근로기준법위반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2015. 5. 17.경부터 2017. 7. 17.경까지 근무하다 퇴직한

    로자 I 퇴직금 2,940,815원을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한 것을 비롯

    하여 별지1 범죄일람표(5) 순번 8, 15 기재와 같이 근로자 2명에게 퇴직금 합계

    23,029,208원을 당사자간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퇴직일로부터 14 이내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2019고단4568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는 D() 대표이사로서 시내버스운송업을 경영하는

    - 5 -

    용자이다.

    5.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

    이내에 임금, 보상금, 퇴직금 밖의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2014. 11. 7.부터 2016. 11. 28.까지

    로하다가 퇴직한 근로자 H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1,017,600, 상여금 2,909,280

    , 퇴직금 잔액 1,520,954원을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한 것을

    비롯하여 별지2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근로자 6명에 대한 퇴직금 합계

    315,943,400원을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당사자 사이의 합의 없이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각각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6.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하고,

    근로자가 사용하지 아니한 휴가일수에 대하여는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을 지급하여야

    .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회사 사업장에서 근무하던 근로자 J 2017년도분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671,120원을 노사 협의하여 정한 지급기일인 2019. 7. 지급

    하지 아니하였다.

    2020고단1019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는 주식회사 D 대표이사로서, 상시근로자 159명을 사용

    하여 시내버스 운송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용자이다.

    7. 재직 근로자에 대한 임금 미지급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매월 1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전액을

    급하여야 한다.

    - 6 -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6. 11. 2.부터 사업장에서 중형버스 운전기사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J 2019 6 상여금 631,538원을 비롯하여 별지3 범죄일람

    () 순번 1, 3, 6 내지 10, 12, 13, 15, 17, 19, 28, 32, 34, 36, 37, 40, 43, 44, 46

    기재와 같이 20명의 임금 합계 71,741,443원을 정기지급일에 지급하지 아니하였

    .

    8. 휴업수당 미지급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근로자에게 평균임

    금의 100분의 70이상의 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6. 4. 22.부터 사업장에서 중형버스 운전기사로

    근무한 근로자 K 대하여 2017. 5. 8.부터 2017. 6. 14.까지 사용자의 귀책사유에

    당하는 경영상의 필요에 따라 배차를 하지 않았음에도 휴업수당 합계 1,735,988원을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2020고단1646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는 주식회사 D 대표이사로서, 상시근로자 159명을 사용

    하여 시내버스 운송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용자이다.

    9. 근로기준법위반

    . 퇴직 근로자에 대한 임금 미지급으로 인한 근로기준법위반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

    이내에 임금, 보상금, 밖의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1996. 10. 24.부터 2020. 2. 29.경까지

    승무원으로 근무하다 퇴직한 근로자 L 2019 미사용연차휴가수당 1,220,160원을

    - 7 -

    롯하여 별지4 범죄일람표(퇴직금 부분 제외) Ⅰ 기재와 같이 3명의 미사용연차휴가

    수당 합계 14,629,814원을 당사자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지급사유

    발생일인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 재직 근로자에 대한 임금 미지급으로 인한 근로기준법위반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매월 1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전액을

    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7. 6. 15.부터 사업장에서 대형버스 승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K 2019 미사용연차휴가수당 679,536원을 비롯하여 별지4

    범죄일람표순번 1, 3, 4, 6 기재와 같이 4명의 2019 미사용연차휴가수당

    1,834,608원을 2020. 1. 10.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10.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피고인은 위와 같이 퇴직한 L 대한 퇴직금 113,514,945원을 비롯하여 별지4

    죄일람표(퇴직금 부분) Ⅰ 기재와 같이 퇴직 근로자 3명에 대한 퇴직금 합계

    323,878,729원을 당사자 간의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지급사유 발생일

    로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2020고단4211

    11. 피고인은 울주군에 있는 주식회사 D 대표로서, 상시근로자 150명을 사용하

    시내버스 운송업을 영위하는 사용자이다.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

    이내에 임금, 보상금, 밖의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2018. 2. 1.부터 2020. 5. 31.까지 사무

    - 8 -

    직으로 근무하다 퇴직한 근로자 M 연차휴가미사용수당 1,565,200, 미지급 상여금

    11,727,600, 퇴직금 6,186,577, 합계 19,479,377원을 당사자간 지급기일 연장에

    합의 없이 지급사유 발생일인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2020고단5062

    12. 피고인은 울주군에 있는 주식회사 D 대표로서, 상시근로자 150명을 사용하여

    시내버스 운송업을 영위하는 사용자이다.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매월 1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전액을

    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02. 9. 24.부터 사업장에서 대형버스 승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N 2020. 9. 임금 3,068,848원을 비롯하여, 별지5 범죄일람

    기재와 같이 4명의 임금 합계 9,250,699원을 정기 지급일인 익월 10일에

    급하지 아니하였다.

    2021고단82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는 D() 대표로 상시 160명의 근로자를 사용하여 시내버

    운송업을 경영하는 사업경영담당자로서 사용자이다.

    13. 퇴직근로자에 대한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미지급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 이내에

    ,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8. 9. 23.경부터 2018. 12. 17.경까지 사업장에서

    근로하다 퇴직한 근로자의 O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133,600원을 미지급한 것을

    - 9 -

    비롯하여 무렵부터 별지6 범죄일람표기재와 같이 근로자 3명의 2018~2019년도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합계 400,800원을 당사자간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사실

    없이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각각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14. 재직근로자에 대한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미지급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전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법령 또는 단체협

    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통화 이외의 것으로

    급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8. 9. 2.경부터 사업장에서 근무하여 근로자 P

    2019 11 연차유급휴가미사용수당 75,504원을 미지급한 것을 비롯하여 무렵

    부터 2020. 6.경에 이르기까지 별지6 범죄일람표순번 5 내지 7, 9, 11, 13 내지

    15, 17 내지 19, 21 내지 23, 25 내지 28, 30, 35 내지 40, 43, 45, 46, 53, 54, 57, 59,

    63, 64, 66, 67, 71 내지 76, 80, 81, 83 내지85, 89, 94, 96 내지 98, 101, 103, 104,

    106, 110, 129 내지 139 기재와 같이 재직근로자 68명의 2018~2019년도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 합계 66,516,324원을 임금정기지급일인 매월 10일에 지급하지 아니하였

    .

    2021고단207

    15. 피고인은 울주군에 있는 주식회사 D 대표로서, 상시근로자 150명을 사용하여

    시내버스 운송업을 영위하는 사용자이다.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매월 1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전액을

    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03. 8. 7.부터 사업장에서 승무원으로 근무하고

    - 10 -

    근로자 N 2020 10 정기상여금 3,516,832원을 비롯하여, 별지7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19명의 임금 합계 61,628,876원을 정기 지급일에 지급하지 아니하

    였다.

    2021고단2005

    피고인은 울주군에 있는 주식회사 D 대표로서, 상시근로자 150명을 사용하여

    시내버스 운송업을 영위하는 사용자이다.

    16. 퇴직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위반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피고인은 1995. 10. 17. 사업장에서 승무원으로 근무하다가 2021. 2. 28. 퇴직한

    근로자 Q 2019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 1,978,368원을 비롯하여 별지8 범죄일람

    기재와 같이 근로자 2명에 대한 임금, 퇴직금 합계 218,743,651원을 당사자

    간의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지급사유 발생일로부터 14 이내에 지급

    하지 아니하였다.

    17. 재직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위반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매월 1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전액을

    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8. 2. 4.경부터 사업장에서 승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R 2020 12 정기상여금 1,666,720원을 정기 지급일에 지급하지

    니하였다.

    2021고단2008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는 D 주식회사의 대표이사인 사람으로 주식회사의

    관리 업무를 총괄하여 왔다.

    - 11 -

    18. 피해자 S 대한 범행

    피고인은 2018. 9. 불상지에서 회사 소속 근로자인 피해자 S 급여에서 원천

    공제한 연금보험료 근로자 기여금 16,290원을 피해자를 위하여 업무상 보관하던

    무렵 회사 운영자금으로 임의로 사용한 것을 비롯하여 그때부터 2019. 9.경까지

    사이에 별지9 범죄일람표 1 기재와 같이 13회에 걸쳐 같은 방법으로 근로자 기여

    합계 1,918,355원을 임의로 사용하여 횡령하였다.

    19. 피해자 T 대한 범행

    피고인은 2018. 9. 불상지에서 회사 소속 근로자인 피해자 T 급여에서 원천

    공제한 연금보험료 근로자 기여금 15,860원을 피해자를 위하여 업무상 보관하던

    무렵 회사 운영자금으로 임의로 사용한 것을 비롯하여 그때부터 2019. 9.경까지

    사이에 별지9 범죄일람표 2 기재와 같이 13회에 걸쳐 같은 방법으로 근로자 기여

    합계 1,876,695원을 임의로 사용하여 횡령하였다.

    2021고단2321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는 D 주식회사의 대표이사로서 회사의 자금 관리

    업무를 총괄한 사람이다.

    20. 피해자 U 대한 범행

    피고인은 2018. 9. 회사에서 소속 근로자인 피해자 U 급여에서 원천공제한

    국민연금보험료 근로자기여금 18,025원을 피해자를 위하여 업무상 보관하던

    무렵 회사의 운영자금으로 임의로 사용한 것을 포함하여 별지10 범죄일람표 1 기재

    같이 13회에 걸쳐 같은 방법으로 근로자 기여금 합계 2,129,795원을 회사의 운영자

    금으로 임의로 사용하여 횡령하였다.

    - 12 -

    21. 피해자 V 대한 범행

    피고인은 2018. 9. 회사에서 소속 근로자인 피해자 V 급여에서 원천공제한

    국민연금보험료 근로자 기여금 17,920원을 피해자를 위하여 업무상 보관하던

    무렵 회사의 운영자금으로 임의로 사용한 것을 포함하여 별지10 범죄일람표 2 기재

    같이 13회에 걸쳐 같은 방법으로 근로자 기여금 합계 2,142,440원을 회사의 운영자

    금으로 임의로 사용하여 횡령하였다.

    2021고단2855

    22.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는 D 주식회사의 대표이사로 주식회사의 자금 관리

    업무를 총괄하는 사람이고, 피해자 W 회사의 근로자이다.

    사용자는 매월 임금에서 국민연금 보험료 근로자가 부담할 기여금을 원천공제하

    근로자를 위하여 보관하고, 국민연금관리공단에 보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은 2018. 9. 회사에서 시내버스 운전기사로 근무한

    피해자의 급여에서 원천공제한 국민연금보험료 근로자 기여금 15,750원을 피해

    자를 위하여 업무상 보관하던 무렵 회사의 운영자금으로 임의로 사용한 것을

    함하여 별지11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2018. 9.부터 2020. 6.까지 14회에 걸쳐

    방법으로 근로자 기여금 합계 2,018,485원을 회사의 운영자금으로 임의로 사용하여

    횡령하였다.

    2021고단3966

    23.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서 상시근로자 150여명을 사용하여 시내버스운송업을

    위하는 D 주식회사의 대표이사로 회사의 사업경영담당자로서 사용자이다.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

    - 13 -

    이내에 임금, 보상금, 퇴직금,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있다.

    그럼에도 피고인은 회사에서 2003. 4. 26.경부터 2021. 7. 4.경까지 시내버스

    전기사로 근로하다 퇴직한 X 2018 미사용 연차유급휴가수당 278,852원을 비롯하

    별지12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근로자 2명에 대한 임금, 퇴직금 합계

    171,321,569원을 당사자 간의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지급사유 발생일로

    부터 14 이내에 각각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2021고단4301

    24.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서 상시근로자 150여명을 사용하여 시내버스운송업을

    위하는 D 주식회사의 대표이사로 회사의 사업경영담당자로서 사용자이다.

    임금은 통화로 직접 근로자에게 전액을 지급하여야 하고, 매월 1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하여 지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피고인은 회사에서 2018. 10. 1. 입사하여 재직 중인 근로자 Y 2020.

    12 상여금 1,666,720, 2021. 6 상여금 1,730,608원을 미지급한 것을 비롯하여

    13 범죄일람표 기재 순번 9, 10, 14, 19, 20, 21, 23, 24, 28, 30, 35, 38, 39, 40, 42,

    43, 47, 48, 54, 57 내지 60, 64, 68, 70, 72, 74, 78 내지 83, 85 내지 90, 92 내지 96,

    99, 100, 102, 103, 105 내지 108, 110, 113, 114, 117 기재와 같이 57명의 임금

    162,166,928원을 정기 임금지급일에 각각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2022고단493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던 시내버스 운송업체인 D 주식회사(이하 ‘D’이라 한다.)

    대표이사로 재직한 있는 D 사업경영담당자로서 사용자이다.

    - 14 -

    25. 근로기준법위반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

    이내에 임금, 보상금,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있다.

    그럼에도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2012. 8. 9.부터 2021. 8. 31.까지 근무하다 퇴직

    근로자 Z 2018 연차수당 972,169, 2021. 8. 상여금 1,044,842, 기타금품

    551,609 임금 금품 2,568,620원을 당사자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한 것을 비롯하여, 별지14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근로자 53명에 대하여 임금 금품 합계 145,458,949원을 당사자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각각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26.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위반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 이내에 퇴직

    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지급기일을 연장할 있다.

    그럼에도 피고인은 사업장에서 2012. 8. 9.부터 2021. 8. 31.까지 근무하다 퇴직

    근로자 Z 퇴직금 34,277,745원을 당사자 사이의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한 것을 비롯하여, 별지14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근로자 53명에 대하여 퇴직금 합계 2,165,386,356원을 당사자 사이의 지급기일

    연장에 관한 합의 없이 퇴직일로부터 14 이내에 각각 지급하지 아니하였다.

    2022고단1955

    27. 피고인은 울산 울주군에 있던 시내버스 운송업체인 D 주식회사(이하 ‘D’이라

    - 15 -

    .) 대표이사로 재직한 있는 회사의 사업경영담당자인 사용자로서, 회사의

    자금 관리 업무를 총괄한 사람이다.

    피고인은 2018. 10. D 사업장에서 소속 근로자인 피해자 AA 급여에서 원천

    공제한 국민연금 건강·장기요양 보험료 근로자 기여금 173,830원을 피해자 AA

    위하여 업무상 보관하던 무렵 D 운영자금으로 임의로 사용한 것을 비롯하

    , 무렵부터 2021. 9.경까지 별지15 범죄일람표 기재와 같이 56명의 피해자를

    위하여 보관하던 근로자 기여금 합계 296,736,510원을 D 운영자금으로 임의로 사용

    하여 횡령하였다.

    증거의 요지(생략)

    법령의 적용

    1. 범죄사실에 대한 해당법조

    최저임금법 28 1, 6 1(최저임금위반의 ), 근로기준법

    109 1, 43(임금정기지급위반의 ), 근로기준법 109 1, 36

    (퇴직 금품청산위반의 ), 근로기준법 109 1, 46 1(휴업수당

    미지급의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44 1, 9 1(퇴직금미지급의

    ), 형법 356, 355 1(업무상횡령의 )

    1. 상상적 경합

    형법 40, 50

    1. 형의 선택

    징역형 선택

    1. 경합범처리

    - 16 -

    형법 37 후단, 39 1

    1. 경합범가중

    형법 37 전단, 38 1 2, 50

    양형의 이유

    판시 전과와 형법 37 후단 경합범 관계에 있는 범죄 부분의 경우 판시 전과와

    동시에 판결이 이루어졌을 경우와의 형평을 고려하여야 아니라 상당부분 피해회

    복이 이루어진 (2021. 10. 6. 변호인 참고서류 제출 참조), 피고인이 현재까지 기소된

    체불임금 퇴직금 1,665,617,823 상당을 피해근로자들에게 지급한 것으로 보이

    (2022. 5. 10. 변호인 참고서류 제출 참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도를 보이고 있는 등의 사정이 인정되기는 한다.

    그러나 적자규모의 상당부분을 시예산으로 재정지원받는 같은 조건 하에서 울산

    여러 버스 회사들 COVID-19 유행 이전부터 유독 두드러졌던 사건 회사의

    부실화는 피고인 경영진의 방만한 경영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 측면이 ,

    사건 공판과정에서 피해회복을 위한 충분한 기회를 부여하였음에도 근로자들에 대한

    체불임금, 퇴직금 업무상횡령 피해금 현재까지 28 원이 넘는 피해가 회복되지

    않고 있는 ( 변호인 참고서류 제출 참조), 이로 인하여 생계에 위협을 받게

    로자들 1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중대한 결과가 초래되기도 , 피고인이 근로

    자들의 급여에서 원천공제한 국민연금 건강장기요양 보험료 근로자 기여금을

    령한 업무상횡령죄로 2022. 6. 28. 기소되어 병합된 2022고단1955 사건의 범죄내용(

    증거기록 46-47 ) 등에 비추어 전술한 피해회복 부분 위와 같은 업무상횡령

    등을 통해 돌려막은 부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근로자들을

    - 17 -

    대로 거액의 피해를 회복해 주지 못한 상태에서 사건 회사의 사업권을 불상의 경위

    대우여객자동차 주식회사에 고용승계 없이4) 0원에 넘기고 파산절차에 들어감에

    근로자들이 대우여객자동차 주식회사에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소송계속

    (울산지방법원 2021가합16429 사건) 피해회복을 위한 진지한 노력이 있었다 평가

    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 그에 따라 많은 근로자들이 피고인에 대한 엄한 처벌을

    원하고 있는 등을 종합하여 보면, 피고인에 대하여는 책임에 상응하는 처벌이

    불가피하다.

    밖에 피고인의 나이, 성행, 범행의 수단 결과, 범행 후의 정황 사건

    론에 나타난 제반 양형조건을 종합하여 주문과 같이 형을 정한다.

    처벌불원에 따른 공소기각 부분(생략)

    판사 한윤옥 _________________________

    (별지 모두 생략)

    4) 대우여객자동차 주식회사에 신규채용 형식으로 입사하는 것에 동의하는 근로자들에 한하여 입사. 근로자들은 대우여객
    자동차 주식회사에 채용 .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