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행정 판결문] 서울행정법원 2023구합51151 - 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
    법률사례 - 행정 2024. 7. 18. 05:52
    반응형

     

    [행정] 서울행정법원 2023구합51151 - 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pdf
    0.25MB
    [행정] 서울행정법원 2023구합51151 - 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docx
    0.03MB

     

     

     

     

    - 1 -

    4

    2023구합51151 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

    A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2024. 4. 19.

    2024. 5. 31.

    1. 피고가 2020. 3. 9. 원고에게 1,385,207,950원의 취득세(가산세 포함) 경정처분

    과소신고 가산세 102,878,520원을 초과하는 부분(= 1,282,329,430)

    256,465,880원의 지방교육세(가산세 포함) 경정처분을 취소한다.

    2. 원고의 나머지 청구를 기각한다.

    3. 소송비용 5% 원고가, 나머지는 피고가 부담한다.

    피고가 2020. 3. 9. 원고에게 1,385,207,950원의 취득세(가산세 포함) 경정처분

    256,465,880원의 지방교육세(가산세 포함) 경정처분을 모두 취소한다.

    - 2 -

    1. 처분의 경위

    . 원고의 본점 이전

    원고는 2016. 4. 22. 본점을 「산업집적활성화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이하

    업집적법이라 한다) 적용을 받는 산업단지 내에 있는 서울 구로구 D, E, F호에서

    수도권정비계획법 6,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2018. 2. 9. 대통령령 28628

    개정되기 전의 ) 9, [별표 1] 규정된 과밀억제권역(서울특별시 ) 있는

    서울 강동구 G, H호로 이전하였다.

    . 원고의 부동산 취득과 신탁 취득세지방교육세 신고납부

    1) 원고는 2017. 9. 28. 서울 강서구 I 2,420(이하 ‘I 토지 한다)

    건물(건물은 2017. 11. 1. 멸실되었다), 서울 강서구 J 체육용지 2,015(이하 ‘J

    하고, 부동산을 통틀어 사건 부동산이라 한다) 취득하였다.

    2) 원고는 2017. 9. 28. 사건 부동산 취득과 관련하여 지방세법(2018. 12.

    31. 법률 16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 이하 지방세법이라 한다) 11 1

    7 나목에 규정된 표준세율(1,000분의 40) 적용하여 취득세를 산출한 해당

    득세지방교육세농어촌특별세 합계 1,058,400,000원을 피고에게 신고납부하였다.

    3) 원고는 2017. 9. 28.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2017. 9. 27. 신탁을 원인으로

    K신탁 주식회사(이하 ‘K신탁이라 한다)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 원고의 수정 신고 취득세 추가 납부

    1) 원고는 2017. 11. 23. 피고에게 사건 부동산 취득에 관한 취득세 과세표준을

    수정 신고하면서 지방세특례제한법 58조의2 따른 지방세 감면 신청을 하였고,

    - 3 -

    고는 2017. 11. 23. 원고에게 취득세의 100분의 50 경감한다고 통지하였다(당초

    정세액 150,529,600, 감면결정세액 75,264,800).

    2) 원고는 피고로부터 취득세 납세고지서를 송부받아 2017. 12. 8. 취득세

    75,513,170, 지방교육세 7,551,310, 농어촌특별세 18,878,280( 가산세 포함)

    납부하였다. 또한, 피고는 2018. 1. 10. 원고에게 수정 신고에 관한 가산세 추가분

    5,590,140원을 부과고지하였고, 원고는 2018. 1. 29. 해당 가산세를 납부하였다.

    3) 피고는 2019. 3. 26. 원고에게원고가 사건 부동산 취득에 관한 취득세

    당시 취득세 감면 신청을 하여 지방세특례제한법 58조의2 따라 취득세의 100

    분의 50 경감받았으나, 사건 부동산 건축물과 부대시설용 토지가 지방세특례

    제한법 58조의2 1 1호에 규정된 지방세 경감 대상 부동산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로 경감받은 취득세와 가산세 등을 과세할 예정임을 통지하였고, 2019. 4. 10.

    원고에게 취득세 62,480,110원을 납부할 것을 고지하였으며, 원고는 2019. 4. 29. 해당

    취득세를 납부하였다.

    . 피고의 취득세지방교육세 경정처분

    1) 피고는 원고가 본점을 지방세법 13 2 1호에 규정된 대도시 밖에

    대도시로 전입한 이후 5 이내에 사건 부동산을 취득함으로써 지방세법

    13 2 1, 지방세법 시행령(2017. 12. 29. 대통령령 28524호로 개정되기

    전의 , 이하 지방세법 시행령이라 한다) 27 3항의 요건을 충족하였다고

    보아, 사건 부동산의 취득에 관하여 지방세법 13 2 1 본문에 규정

    세율(1,000분의 80) 적용하여 취득세를 산출하고 그에 기초하여 지방교육세를

    출한 해당 세액에서 원고가 기존에 납부한 세액을 공제하여 원고에게 과세예고

    - 4 -

    지를 하였다. 해당 과세예고 통지서(11호증, 이하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 한다)

    에는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다.

    세목
    과세
    대상

    과세표준

    지방세
    관련
    법령계 산출세액

    가산세
    무신고/
    과소신고

    납부불성실

    취득세
    I
    1

    42,963,240,
    000

    40
    1,385,207,

    950
    1,028,785,

    310
    102,878,520 253,544,120

    지방세법
    13
    2
    1

    지방
    교육세

    256,465,880 205,757,070 0 50,708,810

    [과세예정내역]

    세목 가산세 구분 대상금액 세율 감면액 가산된 세액 관련 법령

    취득세 과소신고 1,028,785,310 100분의 10 68,974,440 102,878,520
    지방세기본법
    54

    취득세 납부불성실 1,028,785,310 1 10,000분의 3(2.5) 253,544,120
    지방세기본법
    55

    지방
    교육세

    납부불성실 205,757,070 1 10,000분의 3(2.5) 50,708,810
    지방세기본법
    55

    407,131,450

    [가산세 산출내역]

    2) 피고는 2020. 3. 9. 원고에게 취득세 1,385,207,950(과소신고 가산세

    102,878,520 납부불성실 가산세 253,544,120 포함) 지방교육세 256,465,880

    (납부불성실 가산세 50,708,810 포함) 경정고지하였다(이하 통틀어 사건

    처분이라 하고, 1,028,785,310원의 취득세 본세 경정처분을 사건 취득세 경정처

    ’, 205,757,070원의 지방교육세 본세 경정처분을 사건 지방교육세 경정처분’,

    득세에 관한 253,544,120원의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과 지방교육세에 관한

    50,708,810원의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을 사건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처

    ’, 407,131,450원의 가산세 부과처분을 사건 가산세 부과처분이라 한다).

    - 5 -

    사건 처분에 관한 납세고지서(13호증, 이하 사건 납세고지서 한다)에는

    세대상이 ‘I 1필지, 과세표준이 42,963,240,000원으로 기재되어 있고, 세액 부분에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다.

    세목 납기 금액
    취득세 1,028,785,310

    지방교육세 205,757,070
    가산세 총액 407,131,450

    무신고/과소신고 가산세
    취득세 102,878,520

    납부불성실 가산세
    취득세 253,544,120

    지방교육세 50,708,810
    합계 304,252,930

    [가산세 상세내역]

    【인정근거】 다툼 없는 사실, 1호증, 2호증의 1, 2, 3 내지 7, 10, 11, 13, 14

    호증, 2, 3, 4호증, 5호증의 1, 2, 3, 8호증의 기재, 변론 전체의 취지

    2. 관계 규정

    별지 기재와 같다.

    3. 원고의 주장

    다음과 같이 사건 처분에는 실체적절차적 하자가 있으므로, 사건

    분은 위법하여 취소되어야 한다.

    . 실체적 하자

    1) 수탁자를 기준으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하여야

    원고가 사건 부동산을 취득할 당시 시행되던 지방세법 13 2항에

    위탁자를 기준으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지

    - 6 -

    않았던 , ② 한국지방세연구원이 지방세법 13조의 조문 구조상 신탁관계가

    재하는 경우 수탁자를 기준으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적한 , ③ 행정안전부가 위탁자가 부동산을 취득하여 신탁하는 경우 중과세 적용대

    상에서 제외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19. 12. 31. 지방세법 13 2항에

    ‘(신탁법에 따른 수탁자가 취득한 신탁재산을 포함한다)’ 부분을 추가하는 것으로 지방

    세법을 개정한 등에 비추어, 지방세법 13 2항에 따른 중과세 적용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원고(위탁자) 아닌 K신탁(수탁자)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함에도,

    피고는 원고를 기준으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하여 사건 처분을 하였다.

    2)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은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나 무효임

    지방세법 13 2 1호는법인의 본점ㆍ주사무소ㆍ지점 또는 분사무

    소를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함에 따라 대도시의 부동산을 취득하는 경우취득

    세를 중과할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전입함에 따라라는 문언상 취득세 중과

    상이 되는 부동산 취득은 대도시로의 전입과 인과관계가 있는 경우만을 의미한다고

    석하여야 한다. 그런데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은 지방세법상 아무런

    규정이 없음에도 지방세법 13 2 1호에 따른 설립설치전입

    후의 부동산 취득은 법인 또는 사무소등이 설립설치전입 이후 5 이내에 하는

    무용비업무용 또는 사업용비사업용의 모든 부동산 취득으로 한다.’ 규정함으로써

    전입과 무관한 부동산 취득에 대하여도 취득세를 중과할 있도록 하여 과세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였으므로,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은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

    것으로서 조세법률주의에 반하여 무효이다. 따라서 피고가 해당 규정에 근거하여

    원고가 전입과 무관하게 취득한 사건 부동산에 대하여 취득세를 중과한 것은 위법

    - 7 -

    하다.

    또한, 원고는 서울특별시 내에서 본점을 이전한 것일 뿐이어서 이를 두고 본점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한 것으로 없으므로 지방세법 13 2

    1호에 규정된 요건이 충족되었다고 없고, 이와 달리 피고가 원고가 본점을

    도시로 전입한 것으로 보아 취득세를 중과한 것은 산업단지로 입주할 유인을 감소시키

    것이어서 지방세특례제한법 등의 입법취지에도 반한다.

    3) 신뢰보호원칙 위반

    문서에 의한 신고 지도도 과세관청의 공적인 견해 표명에 해당하므로, 피고가

    사건 부동산 취득에 관하여 원고에게 지방세 감면 통지, 의무사항 통지, 과세 예고

    통지, 납세고지서 발급을 것은 공적인 견해 표명에 해당한다. 원고는 위와 같은

    고의 공적인 견해 표명에 따라 취득세를 성실하게 신고납부하였는데, 피고는 수차례

    취득세 등을 경정하거나 부과하면서 원고에게 취득세를 중과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고의 취득세 납세의무 성립일(2017. 9. 28.)로부터 3 가까이 지난 시점에 사건

    처분을 하였으므로, 사건 처분은 신뢰보호원칙에 반한다.

    4) 가산세 감면의 정당한 사유 존재

    설령 사건 부동산 취득에 대하여 취득세를 중과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하더라

    , ① 지방세 전문가인 피고 측조차 지방세법 13 2 1호의 해석에 관하

    확실한 견해를 가지지 못하여 사건 부동산 취득이 취득세 중과 대상이라는 점을

    알지 못하였던 이상, 원고로서는 산업단지 내에서 밖으로 본점을 이전한

    부동산을 취득한 것이 취득세 중과 대상이라는 점을 알기 어려웠다고 보아야 하는

    , ② 피고가 사건 처분에 이르기까지 사건 부동산 취득에 대하여 수차례에

    - 8 -

    걸쳐 과세처분을 하고 감면규정을 적용하였고, 원고는 피고의 일련의 행위를 신뢰하고

    성실하게 취득세 등을 납부하였으므로, 원고로서는 사건 부동산 취득에 관한 납세

    의무가 종결되었다고 믿는 것이 자연스럽고, 원고가 사건 부동산 취득이 취득세

    대상에 해당한다고 해석하여 다시 취득세를 신고납부할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 ③ 피고는 사건 부동산 취득에 대하여 수차례 과세처분을 하면서도 사건

    동산 취득이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해 왔고, 감사원의 감사를

    이후에야 비로소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한다고 보아 원고에게 과세예고 통지를

    , ④ 피고가 장기간 취득세 중과를 하지 않았고, 피고가 곧바로 취득세 중과를

    였다면 대부분의 가산세가 부과되지 않았을 것인 , ⑤ 지방세법 13 2

    1호의대도시로 전입 해석(서울특별시 내에서 본점을 이전하는 것도대도시로

    해당한다고 해석할 것인지) 취득세 중과 판단 기준의 해석(위탁자와 수탁자

    누구를 기준으로 판단할 것인지) 관하여 세법해석상 의의가 있다고 있는

    , ⑥ 지방세법 13 2 1호의 규정상 취득세 중과를 위탁자와 수탁자

    누구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할지 불명확하여 원고로서는 위탁자를 기준으로 취득세

    과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명확히 알기 어려웠던 등에 비추어, 원고가 취득세

    납세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데에는 지방세기본법(2020. 12. 29. 법률 17768

    개정되기 전의 , 이하 지방세기본법이라 한다) 57 1항에 규정된 가산

    세를 부과하지 않을정당한 사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피고는 원고에게

    가산세를 부과하였으므로, 사건 가산세 부과처분은 위법하다.

    . 절차적 하자

    1) 사건 취득세 경정처분

    - 9 -

    사건 납세고지서,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의 과세대상에는 사건 부동산

    토지만 기재되어 있고 건물은 기재되어 있지 않아 과세대상 재산이 특정되었다고

    없다. 또한, 사건 납세고지서에는 취득세의 계산 과정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 기재된 세율(40) 코드번호인지 세율인지 여부를

    없으며, 해당 세율이 ‘4%’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 취득세 과세표준에 4% 곱하여

    산출세액이 계산되지 않으므로, 사건 납세고지서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

    취득세의 산출근거가 기재되었다고 없다.

    2) 사건 지방교육세 경정처분

    사건 납세고지서,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의 과세대상에는 사건 부동산

    토지만 기재되어 있고 건물은 기재되어 있지 않아 과세대상 재산이 특정되었다고

    없다. 또한,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는 지방교육세에 대한 법적 근거( 지방

    세법 151), 과세표준, 세율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3) 사건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 세율이 ‘1 10,000분의 3(2.5)’으로 기재되어 있어

    어느 세율이 적용되는지 여부가 불분명하고, 가산일수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4. 사건 처분의 적법 여부

    . 실체적 하자 주장에 대한 판단

    1) 관계 규정의 내용

    지방세법 13 2 1호는 수도권정비계획법 6조에 따른 과밀억제권

    (산업집적법을 적용받는 산업단지는 제외한다)대도시 규정하면서, 법인의 본점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함에 따라 대도시의 부동산을 취득( 설립ㆍ설치ㆍ전

    - 10 -

    이후의 부동산 취득을 포함한다)하는 경우에는 취득세를 중과[표준세율의 100분의

    300에서 중과세기준율의 100분의 200(1,000분의 40) 세율을 적용]한다고 규정하

    있고, 지방세법 13 8항은 13 2항에 따른 중과세의 범위와 적용기

    ,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임을 받은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은 지방세법 13 2 1호에 따른 설립ㆍ

    설치ㆍ전입 이후의 부동산 취득은 법인이 전입 이후 5 이내에 하는 업무용ㆍ비업무

    또는 사업용ㆍ비사업용의 모든 부동산 취득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 수탁자를 기준으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판단

    ) 앞서 처분의 경위에 따르면, 원고는 2017. 9. 28. 사건 부동산을 취득

    같은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신탁을 원인으로 하여 K신탁 앞으로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쳤다. 이처럼 K신탁이 수탁자로서 사건 부동산의 소유자로부터

    사건 부동산을 양수한 것이 아니라 원고가 먼저 사건 부동산을 취득한 K신탁에

    신탁을 원인으로 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이상, 원고가 사건 부동산을 취득

    시점에 원고의 취득세 납세의무가 성립하고( 지방세기본법 34 1 1),

    해당 시점에서 지방세법 13 2 1호에 규정된대도시의 부동산을 취득한

    법인 원고이므로, 원고의 사건 부동산 취득이 지방세법 13 2 1

    규정된 중과세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원고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함이 분명하

    .

    ) 이에 대하여 원고는 지방세법 13 2항에 위탁자를 기준으로 중과세

    해당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 한국지방세연구원의

    지적 내용, 지방세법 개정 경위 등을 들어 수탁자인 K신탁을 기준으로 취득세 중과

    - 11 -

    부를 판단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나, ① 원고가 근거로 드는 한국지방세연구원의 논문과

    대법원 2003. 6. 10. 선고 20012720 판결 등은 모두 수탁자가 직접 부동산을 취득하

    해당 수탁자가 납세의무자인 경우에 관한 것으로, 원고가 사건 부동산을 취득하

    납세의무자가 사건과는 사실관계가 달라 사건에 원용할 없는 , ②

    지방세법 13 2항의부동산을 취득하는 경우 2019. 12. 31. ‘부동산(신탁법에

    따른 수탁자가 취득한 신탁재산을 포함한다) 취득하는 경우 개정되기는 하였으나,

    이는 수탁자가 직접 취득한 부동산을 중과세 대상 부동산에 포함하는 내용일 기존

    수탁자를 기준으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하던 것을 위탁자를 기준으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변경하기 위한 것이 아닌 등에 비추어, 원고가 주장

    하는 사정만으로는 K신탁을 기준으로 사건 부동산 취득이 중과세 대상에 해당하는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없다.1)

    3)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이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났다는 주장에

    판단

    )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이 무효인지 여부

    지방세법 13 2 1호는 법인의 본점을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함에 따라 대도시의 부동산을 취득( 설립ㆍ설치ㆍ전입 이후의 부동산 취득을

    1) 원고는 외에 지방세법 13조의 입법취지는 수도권 과밀화를 막고 지방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있는 , ② 원고는 본점을 서울 구로구 D에서 서울 강동구 G 이전한 것이어서 수도권을 과밀화하였다고
    없는 , ③ 원고는 사건 부동산을 소유하기 위하여가 아니라 신탁하기 위하여 사건 부동산을 취득하
    였고, 취득한 곧바로 신탁한 등에 비추어 원고에게 취득세를 중과하는 것은 지나치게 가혹하다고도 주장
    한다(2024. 1. 3. 준비서면).

    그러나 지방세법 13 2 1,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은 대도시 내로의 인구유입에 따른
    인구팽창을 막고 대도시의 인구 분산을 기하는 목적이 있지만, 일단 규정에 정해진 요건사실이
    족되면 일률적으로 규정을 적용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고, 구체적인 사안에서 입법 목적과의 배치
    부를 따져 적용 여부를 결정할 없으므로(대법원 2015. 3. 26. 선고 201213511 판결 참조), 원고의
    본점 이전 사건 부동산 취득이 규정의 입법취지에 반하는지 여부에 따라 취득세 중과 여부가 달라
    진다고 없다. 원고의 주장도 받아들일 없다.

    - 12 -

    함한다)하는 경우에는 취득세를 중과한다고 규정하면서 중과세 대상 부동산의 범위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이

    방세법 13 8항의 위임을 받아 중과세 대상 부동산의 범위를법인이 전입 이후

    5 이내에 하는 업무용비업무용 또는 사업용비사업용의 모든 부동산 취득으로

    정한 것을 두고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났다거나 조세법률주의에 반한다고 없다

    [ 지방세법(1993. 12. 27. 법률 4611호로 개정되기 전의 ) 138 1 3

    2), 지방세법 시행령(1993. 12. 31. 대통령령 14041호로 개정되기 전의 )

    102 23) 대한 대법원 1999. 2. 24. 선고 973132 판결 참조]. 따라서 지방

    세법 시행령 27 3항이 무효라고 없으므로, 피고가 해당 조항에 근거하여

    원고의 사건 부동산 취득에 대하여 취득세를 중과한 어떠한 하자가 있다고

    없다.

    이에 대하여 원고는 지방세법 13 2 1호가대도시로 전입함에

    따라라고 규정하고 있는 점을 들어 조항이 중과세 대상 부동산의 범위를 본점의

    대도시 전입과 인과관계가 있는 부동산으로 제한한 것이라는 취지로 주장하나, ① ‘

    도시로 전입함에 따라 대도시의 부동산을 취득이라는 문언이 반드시 본점 전입과

    2) 138 (대도시 지역내 법인등기등의 중과)
    다음 각호의 1 해당하는 등기를 하는 때에는 세율을 131 137조에 규정한 당해 세율의 5배로

    한다. (단서 생략)
    3.
    대도시내에서의 법인의 설립과 지점 또는 분사무소의 설치 대도시내로의 법인의 본점·주사무소·지점

    분사무소의 전입에 따른 부동산등기와 설립·설치·전입 이후의 부동산등기
    3)
    102 (대도시내 법인등 중과세의 범위와 적용기준)
    138 1 3호에서법인의 설립과 지점 또는 분사무소의 설치 대도시내로의 법인의 본점ㆍ주

    사무소ㆍ지점 또는 분사무소의 전입에 따른 부동산등기 함은 당해법인 또는 지점등이 설립ㆍ설치ㆍ전입
    (
    수도권의 경우 서울특별시외의 지역에서 서울특별시내로의 전입은 대도시내로의 전입으로 본다. 이하 이조에서
    같다)이전에 취득하는 일체의 부동산 등기를 말하며, “ 설립ㆍ설치ㆍ전입 이후의 부동산등기 함은 법인
    지점등이 설립ㆍ설치ㆍ전입 이후 5년이내에 취득하는 업무용ㆍ비업무용 또는 사업용ㆍ비사업용을 불문한
    체의 부동산등기를 말한다. 경우 일체의 부동산등기에는 공장의 신설ㆍ증설, 공장의 승계취득, 당해 대도시내
    에서의 공장의 이전 공장의 업종변경에 따르는 부동산취득등기를 포함하며, “지점등이라 함은 내무부령이
    정하는 사무소 또는 사업장을 말한다.

    - 13 -

    과관계가 있는 부동산 취득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려운 , ② 더욱이

    항은 괄호 안에 ‘( 전입 이후의 부동산 취득을 포함한다)’ 규정함으로써 전입 이후

    부동산을 취득한 경우도 중과세 대상이 된다고 명시하고 있는 등에 비추어,

    고가 주장하는 사정만으로 조항이 중과세 대상 부동산의 범위를 본점 전입과 인과

    관계가 있는 부동산으로 제한하였다고 없다.

    ) 사건 부동산 취득이 본점 이전과 무관하여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지 여부

    원고는 사건 부동산 취득이 본점 이전과 무관하여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

    하지 않는다고도 주장한다. 그러나 지방세법 시행령 27 3항은 지방세법

    13 2 1호에 따른 설립ㆍ설치ㆍ전입 이후의 부동산 취득은 법인이 전입

    이후 5 이내에 하는 업무용ㆍ비업무용 또는 사업용ㆍ비사업용의 모든 부동산 취득으

    한다 규정하고 있으므로, 원고가 본점 이전 이후 5 이내에 사건 부동산을

    취득한 이상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하고, 사건 부동산 취득이 본점 이전과 관련

    있는지 여부는 결론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없다고 봄이 타당하다.

    ) 원고의 본점 이전이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한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여부

    원고는 밖에 서울특별시 내에서 본점을 이전한 것을 두고 본점을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한 것으로 없고, 이를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한

    으로 보는 것은 지방세특례제한법 등의 입법취지에도 반한다고도 주장한다. 그러나

    지방세법 13 2 1호가대도시 수도권정비계획법 6조에 따른 과밀억제

    권역(서울특별시 )으로 규정하면서 산업집적법을 적용받는 산업단지는 제외한다고

    - 14 -

    명시한 이상, 원고가 본점을 산업집적법을 적용받는 산업단지 내에 있는 서울 구로구

    D, E, F호에서 산업단지가 아닌 서울 강동구 G, H호로 이전한 것은 본점을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한 것에 해당함이 분명하므로, 피고가 원고의 본점 이전을 대도

    시로의 전입으로 보아 사건 처분을 어떠한 하자가 있다고 없다.

    4) 신뢰보호원칙 위반 여부

    ) 관련 법리

    지방세기본법 18조에 의하면, 세무공무원은 신의에 따라 성실하게 직무

    수행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조세법률관계에서 과세관청의 행위에 대하여 신의성

    실의 원칙이 적용되기 위하여는, 첫째, 과세관청이 납세자에게 신뢰의 대상이 되는

    적인 견해 표명을 하여야 하고, 둘째, 납세자가 과세관청의 견해 표명이 정당하다고

    뢰한 대하여 납세자에게 귀책사유가 없어야 하며, 셋째, 납세자가 견해 표명을

    신뢰하고 이에 따라 무엇인가 행위를 하여야 하고, 넷째, 과세관청이 견해 표명에

    반하는 처분을 함으로써 납세자의 이익이 침해되는 결과가 초래되어야 한다(대법원

    2003. 9. 5. 선고 2001403 판결 참조).

    ) 판단

    원고가 사건 부동산 취득에 관한 취득세 과세표준을 수정 신고하면서

    지방세 감면 신청을 하였고, 피고가 2017. 11. 23. 원고에게 취득세의 100분의 50

    감한다고 통지한 사실, ② 원고가 피고로부터 납세고지서를 송부받아 수정 신고에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가산세 포함) 등을 납부한 사실, ③ 피고가

    고에게 2019. 3. 26. 경감받은 취득세와 가산세 등을 과세할 예정임을 통지하고 2019.

    4. 10. 취득세를 납부할 것을 고지하여 원고가 취득세를 납부한 사실은 앞서 바와

    - 15 -

    같다.

    그러나피고의 지방세 감면 통지, 과세 예고 통지, 납세고지 등은 모두

    방세특례제한법 58조의2 따른 지방세 경감 여부 또는 원고의 취득세 과세표준

    신고에 관한 것일 사건 부동산 취득이 지방세법 13 2 1호에

    규정된 중과세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 아닌 , ② 달리 피고가 원고에

    어떠한 견해를 표명하였다고 만한 자료가 없는 (피고가 원고에게 취득세를

    과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중과하지 않다가 원고의 취득세 납세의무 성립일로부터 상당

    기간이 경과한 사건 처분을 하였다는 사정만으로는 피고가 원고에게 공적

    견해를 표명하였다고 없다) 등에 비추어, 피고가 원고에게 사건 부동산

    득이 지방세법 13 2 1호에 규정된 중과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지의 견해를 표명하였다고 없다.

    이처럼 피고가 원고에게 신뢰의 대상이 되는 공적인 견해 표명을 하였다고

    없는 이상, 사건 처분이 신뢰보호원칙에 반한다고 없다.

    5) 가산세를 감면할 정당한 사유가 있는지 여부

    ) 관련 법리

    세법상 가산세는 과세권의 행사 조세채권의 실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납세의무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법에 규정된 신고, 납세 각종 의무를 위반한 경우

    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부과하는 행정상의 제재이다. 따라서 단순한 법률의 부지나

    오해의 범위를 넘어 세법해석상 의의(疑意) 인한 견해의 대립이 있는 등으로 인해

    납세의무자가 의무를 알지 못하는 것이 무리가 아니었다고 있어서 그를 정당

    시할 있는 사정이 있을 또는 의무의 이행을 당사자에게 기대하는 것이

    - 16 -

    리라고 하는 사정이 있을 의무를 게을리 점을 탓할 없는 정당한 사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재를 과할 없다(대법원 2020. 6. 11. 선고 201761508

    판결 참조).

    ) 판단

    앞서 처분의 경위와 변론 전체의 취지를 종합하여 인정되는 다음 사정에

    비추어 보면, 원고에게 지방세기본법 57 1항에 규정된 가산세를 부과하지

    정당한 사유 있다고 없고, 원고가 사건 부동산 취득이 지방세법

    13 2 1호에 따른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지 못한 것은 단순

    법률의 부지에 해당한다고 판단된다.

    앞서 대로 K신탁이 사건 부동산을 소유자로부터 양수한 것이

    니라 원고가 사건 부동산을 취득한 K신탁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이상,

    원고의 취득세 납세의무에 관하여는 원고를 기준으로 지방세법 13 2 1

    호에 따른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함이 당연하다. 또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위탁자와 수탁자 누구를 기준으로 판단할 것인지에 관한 견해 대립은 수탁자

    부동산의 소유자로부터 직접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수탁자가

    세의무자가 되는 경우) 관한 것이지, 사건과 같이 위탁자가 부동산을 취득한

    해당 부동산을 수탁자에게 신탁한 경우에 관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원고가 자신을

    준으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없었다거나, 취득세 중과

    부의 판단 기준에 대하여 세법해석상 의의가 있었다고 없다.

    지방세법 13 2 1호는 산업집적법을 적용받는 산업단지가

    조항상의 대도시에서 제외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조항상대도시로

    - 17 -

    부분에 관하여 세법해석상 의의가 있다고 없고, 원고가 산업단지 안에서

    업단지가 아닌 서울특별시로 본점을 이전한 사건 부동산을 취득한 것이 지방

    세법 13 2 1호에 따른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한다는 것을 없었다

    수도 없다.

    피고가 사건 처분에 앞서 원고에게 지방세 감면 통지, 과세 예고

    등을 하기는 하였으나, 이는 사건 부동산 취득이 지방세법 13 2 1

    호에 따른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와는 무관하므로, 원고가 피고의

    통지를 받고 사건 부동산 취득이 취득세 중과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신뢰하였

    다거나 그로 인해 표준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취득세만을 신고납부하였다고

    없다.

    6) 소결

    사건 처분에 실체적 하자가 있다고 없다.

    . 절차적 하자 주장에 대한 판단

    1) 관련 법리

    ) 지방세기본법 2 1 15, 지방세징수법 12 1항에 의하

    , 지방세의 납세고지는 납부할 지방세의 과세연도와 세목, 부과의 근거가 되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의 규정, 납세자의 주소성명, 과세표준, 세율, 세액,

    납부기한, 납부장소, 납부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 이행될 조치 지방세

    과가 법령에 어긋나거나 착오가 있는 경우의 구제방법 등을 기재한 납세고지서에 의하

    도록 되어 있는바, 규정들은 조세법률주의 원칙에 따라 과세관청으로 하여금 신중

    하고 합리적인 처분을 하게 함으로써 조세행정의 공정을 기함과 동시에 납세의무자에

    - 18 -

    과세처분의 내용을 상세하게 알려 불복 여부의 결정 불복신청에 편의를 주려는

    입법 취지가 있는 만큼, 납세고지서에는 원칙적으로 납세의무자가 과세처분의

    내용을 상세하게 있도록 과세대상 재산을 특정하고 그에 대한 세액 과세표준

    , 적용할 세율 세액의 산출근거를 구체적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규정들은 강행

    규정으로서 규정들에서 요구하는 사항 일부를 누락한 흠이 있는 경우 과세처

    분은 위법하다(대법원 2010. 11. 11. 선고 20085773 판결, 대법원 2015. 12. 23.

    201536645 판결 참조).

    ) 여러 종류의 가산세를 함께 부과하면서, 납세고지서에 산출근거는 물론 종류

    조차도 따로 밝히지 않고 단지 가산세의 합계액만을 기재하고는, 납세의무자가 스스로

    세법 규정을 살펴보면 무슨 가산세가 부과된 것이고 산출근거가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낼 있다고 하는 것으로 기재의 흠결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대법원 2012. 10.

    18. 선고 201012347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 한편 과세관청이 과세처분에 앞서 납세의무자에게 보낸 과세예고통지서

    의하여 납세의무자가 처분에 대한 불복 여부의 결정 불복신청에 전혀 지장을

    받지 않았음이 명백하다면, 이로써 납세고지서의 흠결이 보완되거나 하자가 치유된다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납세고지서의 하자를 사전에 보완할 있는 서면

    법령 등에 의하여 납세고지에 앞서 납세의무자에게 교부하도록 되어 있어 납세고지

    서와 일체를 이룰 있는 것에 한정될 뿐만 아니라, 거기에는 납세고지서의 필요적

    기재사항이 제대로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대법원 2005. 10. 13. 선고 20055505 판결,

    대법원 2015. 3. 20. 선고 201444434 판결 참조).

    2) 사건 취득세 경정처분에 관한 주장에 대한 판단

    - 19 -

    앞서 처분의 경위에 따르면, 사건 납세고지서에는 과세대상이 ‘I 1필지

    기재되어 있고, 취득세 과세표준취득세 산출세액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는 과세대상이 ‘I 1필지 기재되어 있고, 취득세 과세표준세율

    (40)․산출세액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에 따라 있는 다음 사정에 비추어, 사건 취득세 경정

    처분에는 납세고지서의 필요적 기재사항(과세대상 재산, 산출근거) 누락한 하자가

    다고 봄이 타당하다.

    ) 사건 납세고지서에는 과세대상이 ‘I 1필지로만 기재되어 있을

    세대상 재산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지 않아 납세고지서만 보아서는 과세대상

    산이 사건 부동산(I 토지 지상 건물, J 토지)임을 없다.

    이에 대하여 피고는 원고가 I 토지 지상 건물에 관하여 하나의 신고서로

    동시에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하였기 때문에 I 토지의 지번을 표시함으로써 해당

    지에 위치한 부동산이 과세대상에 해당한다고 표시한 것이라고 주장하나, ① 피고가

    사건 납세고지서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 ‘I 1필지 과세대상 재산 소재

    지가 아닌 과세대상으로 표시한 , ② 더구나 I 토지 지상 건물은 2017. 11. 1. 멸실되

    사건 취득세 경정처분 당시 존재하지 않았던 등에 비추어, 피고가 주장하는

    사정만으로는 원고가 사건 취득세 경정처분의 과세대상이 사건 부동산임을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 사건 납세고지서에는 취득세 과세표준과 산출세액만 기재되어 있을

    세율 등의 산출근거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도 과세대상이 사건 납세고지서와 동일하게

    - 20 -

    기재되어 있고,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 기재된 취득세 과세표준세율(40)․산출세

    액만으로는 산출근거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없어 사건 납세고지서의 하자가 치유

    되었다고 수도 없다[특히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 기재된 세율(40) 무엇을

    미하는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피고는 지방세법 13 2 1 본문에 규정된

    세율(1,000분의 80) 적용하여 취득세를 산출한 해당 세액에서 원고가 기존에

    부한 세액을 공제하는 방법으로 사건 취득세 경정처분의 세액을 산출하였으므로,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 기재된 세율(40) 피고가 적용한 세율(1,000분의 80)

    고가 적용한 표준세율(1,000분의 40) (1,000분의 40)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있으나, 그렇게 보더라도 피고가 새로 산출한 취득세액에서 기존에 납부된 취득세

    액을 공제하는 방법으로 사건 취득세 경정처분의 세액을 산출한 데다 사건 부동

    산에 감면 대상과 비감면 대상이 혼재되어 있는 탓에 취득세 산출세액이 어떤 과정을

    통해 산출된 것인지 없다].

    3) 사건 지방교육세 경정처분에 관한 주장에 대한 판단

    앞서 처분의 경위에 따르면, 사건 납세고지서에는 과세대상이 ‘I 1필지

    기재되어 있고, 지방교육세 산출세액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사건 과세예고

    지서에는 과세대상이 ‘I 1필지 기재되어 있고, 지방세 산출세액이 기재되어 있을

    , 지방교육세의 과세표준세율부과의 근거가 되는 법률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사실관계에 따라 있는 다음 사정에 비추어, 사건 지방교육세

    경정처분에도 납세고지서의 필요적 기재사항(과세대상 재산, 과세표준, 세율, 산출근거,

    부과의 근거가 되는 법률) 누락한 하자가 있다고 봄이 타당하다.

    ) 앞서 대로 사건 납세고지서에는 과세대상이 ‘I 1필지로만 기재되

    - 21 -

    있을 과세대상 재산이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지 않고, 지방교육세 과세표준

    세율 등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산출근거를 없으며, 지방교육세 부과의 근거가

    되는 법률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도 과세대상이 사건 납세고지서와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고, 지방교육세 과세표준세율 등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산출근거를

    없으며, 지방교육세 부과의 근거가 되는 법률도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건

    납세고지서의 하자가 치유되었다고 없다.

    이에 대하여 피고는 납세고지서 양식(6호증) 2면에 사건 지방교육세

    정처분의 근거가 되는 법률인 지방교육세법 151조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지방교육세 경정처분은 양식에 따라 이루어졌으므로, 납세고지서에 근거 법률이

    기재되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피고가 제시한 납세고지서 양식(6

    호증) 2면에는 지방교육세의 근거법령이지방세법 149~154 포괄적으로

    재되어 있을 뿐이므로, 이를 두고 사건 납세고지서에 사건 지방교육세 경정처분

    근거 법률이 기재된 것이라고 평가할 수는 없다.

    ) 지방세법 150 1호는 부동산 취득에 대한 취득세의 납세의무자를

    지방교육세의 납세의무자로 정하고 있고, 151조는 지방교육세의 과세표준과 세율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피고가 새로 산출한 지방교육세액에서 기존에 납부된

    지방교육세액을 공제하는 방법으로 사건 지방교육세 경정처분의 세액을 산출한

    사건 부동산에 감면 대상과 비감면 대상이 혼재되어 있는 탓에 사건 납세고

    지서,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의 기재 내용에 지방세법 151조의 규정 내용을

    하더라도 사건 지방교육세 경정처분의 세액이 어떤 과정을 통해 산출된 것인지

    - 22 -

    어려울뿐더러, 설령 원고가 지방세법 151조의 규정을 살펴봄으로써 지방교육

    산출근거를 알아낼 있다고 하더라도 납세고지서의 필요적 기재사항을 누락한

    정당화된다고 없다.

    4) 사건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에 관한 주장에 대한 판단

    앞서 처분의 경위에 따르면, 사건 납세고지서에는 취득세에 관한 납부불

    성실 가산세액, 지방교육세에 관한 납부불성실 가산세액이 기재되어 있고, 사건

    세예고 통지서의가산세 산출내역에는 가산세별로 대상금액세율[1 10,000

    분의 3(2.5)], 산출세액, 관련 법령(지방세기본법 55)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에 따라 있는 다음 사정에 비추어, 사건 납부불성

    가산세 부과처분 역시 납세고지서의 필요적 기재사항(산출근거) 누락한 하자가

    있다고 봄이 타당하다.

    ) 지방세기본법 55 1 1호는과소납부분 세액 × 납부기한의

    날부터 자진납부일 또는 부과결정일까지의 기간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자율

    공식을 통해 납부불성실 가산세액을 산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납부불성실 가산

    세액의 산출근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납부기한의 다음 날부터 자진납부일 또는 부과

    결정일까지의 기간 필요가 있으나, 사건 납세고지서와 사건 과세예고 통지

    서에는 기간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는 가산세별로 대상금액세율[1 10,000

    3(2.5)], 산출세액이 기재되어 있으나, 세율이 단일하지 않은 까닭에 간단한 계산을

    통해납부기한의 다음 날부터 자진납부일 또는 부과결정일까지의 기간 산정해

    없다(세율이 단일한 경우에는 산출세액을 대상금액과 세율로 나누는 방법으로

    - 23 -

    기간을 간단하게 산정할 있다).

    ) 앞서 대로 지방세기본법 55 1 1호는 납부불성실 가산세액

    계산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고,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에는 대상금액(과소납부분

    세액) 산출세액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지방세법 55 1 1호의대통령령

    으로 정하는 이자율 1 10,000분의 3이었다가 지방세기본법 시행령이 2018. 12.

    31. 대통령령 29436호로 개정됨에 따라 1 100,000분의 25 변경되었고, 부칙

    따라 2018. 12. 31.까지의 기간에 대하여는 종전 규정에 따른 1 10,000분의 3

    이자율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사정을 종합하면, 원고가 지방세기본법 55 1

    1 지방세기본법 시행령의 규정을 살펴보면납부기한의 다음 날부터 자진납

    부일 또는 부과결정일까지의 기간 산정해 있을 것으로 보이기는 하나, 앞서

    대로 그러한 사정만으로 납세고지서의 필요적 기재사항을 누락한 것이 정당화된다

    없다.

    ) 피고는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가 지방세기본법 시행규칙 별지 52

    식에 따라 작성되었고 해당 서식의 기재사항(세목, 가산세 구분, 대상금액, 세율, 감면

    , 가산된 세액, 관련법령) 모두 기재되어 있는 이상 절차적 하자가 있다고

    없다고 주장하고, 지방세기본법 시행규칙 별지 52 서식(지방세 과세예고 통지)

    납부기한의 다음 날부터 자진납부일 또는 부과결정일까지의 기간 적는 란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는 하다. 그러나 서식은 지방세 납세고지서가 아닌 지방세 과세

    예고 통지의 서식에 불과하고, 피고로서는 납세고지서의 가산세 산출내역란에 대상금

    , 기간, 이자율을 기재하는 방법으로 충분히 산출근거를 밝힐 있다. 또한, ),

    ), )항에서 대로 사건 납세고지서와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 자체만으로는

    - 24 -

    납부불성실 가산세의 산출근거를 정확히 알기 어려운 이상, 사건 과세예고 통지서

    법령에 정해진 서식에 따라 작성되었다는 사정만으로 절차적 하자가 없다고

    없다.

    5) 소결취소의 범위

    사건 취득세 경정처분, 사건 지방교육세 경정처분, 사건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처분에는 절차적 하자가 있어 위법하므로 취소되어야 한다. 다만 취득세에

    관한 102,878,520원의 과소신고 가산세 부과처분의 경우 절차적 하자가 있다고

    사정이 없고 앞서 대로 해당 가산세 부과처분에 실체적 하자가 있다고 수도

    없으므로 해당 가산세 부과처분은 위법하다고 없다.

    따라서 사건 처분 1,282,329,430(= 1,385,207,950 – 102,878,520)

    취득세(가산세 포함) 경정처분 256,465,880원의 지방교육세(가산세 포함) 경정처

    분은 위법하므로 취소되어야 한다.

    5. 결론

    원고의 청구는 인정 범위 내에서 이유 있으므로 인용하고 나머지 청구는 이유

    으므로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 25 -

    별지

    관계 규정

    지방세법(2018. 12. 31. 법률 16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

    6(정의)

    취득세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호와 같다.

    19. "중과기준세율"이란 11 12조에 따른 세율에 가감하거나 15 2항에 따른

    세율의 특례 적용기준이 되는 세율로서 1천분의 20 말한다.

    11(부동산 취득의 세율)

    부동산에 대한 취득세는 10조의 과세표준에 다음 호에 해당하는 표준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을 세액으로 한다.

    7. 밖의 원인으로 인한 취득

    . 농지 외의 : 1천분의 40

    13(과밀억제권역 취득 중과)

    다음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부동산을 취득하는 경우의 취득세는 11 1항의

    표준세율의 100분의 300에서 중과기준세율의 100분의 200 세율을 적용한다. 다만, 11

    1 8호에 해당하는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의 취득세는 같은 1항의 표준세율과

    과기준세율의 100분의 200 합한 세율을 적용하고, 「수도권정비계획법」 6조에 따른

    밀억제권역(「산업집적활성화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는 산업단지는 제외한다.

    28조에서 "대도시" 한다) 설치가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업종으로서 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업종(이하 조에서 "대도시 중과 제외 업종"이라 한다) 직접 사용할 목적으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법인이 사원에 대한 분양 또는 임대용으로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거용 부동산(이하 조에서 "사원주거용 목적 부동산"이라 한다) 취득

    하는 경우의 취득세는 11조에 따른 해당 세율을 적용한다.

    1. 대도시에서 법인을 설립[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면(休眠)법인(이하 "휴면법인"이라 한다)

    인수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호에서 같다]하거나 지점 또는 분사무소를 설치

    하는 경우 법인의 본점ㆍ주사무소ㆍ지점 또는 분사무소를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수도권정비계획법」 2조에 따른 수도권의 경우에는 서울특별시 외의 지역에서

    - 26 -

    울특별시로의 전입도 대도시로의 전입으로 본다. 이하 28 2항에서 같다)

    함에 따라 대도시의 부동산을 취득( 설립ㆍ설치ㆍ전입 이후의 부동산 취득을 포함한다)

    하는 경우

    2항에 따른 중과세의 범위와 적용기준,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1

    항과 2항에 따른 공장의 범위와 적용기준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150(납세의무자)

    지방교육세의 납세의무자는 다음 호와 같다.

    1. 부동산, 기계장비(124조에 해당하는 자동차는 제외한다), 항공기 선박의 취득에 대한

    취득세의 납세의무자

    151(과세표준과 세율)

    지방교육세는 다음 호에 따라 산출한 금액을 세액으로 한다.

    1. 취득물건(15 2항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대하여 10조의 과세표준에

    11 1 1호부터 7호까지와 12조의 세율(14조에 따라 조례로 세율을 달리

    정하는 경우에는 세율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서 1천분의 20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한 금액(11 1 8호의 경우에는 해당 세율에 100분의 50 곱한 세율을

    용하여 산출한 금액) 100분의 20. 다만, 다음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목에서 정하는 금액으로 한다.

    . 13 2항ㆍ제3항ㆍ제6 또는 7항에 해당하는 경우: 외의 부분

    문의 계산방법으로 산출한 지방교육세액의 100분의 300

    . 가목과 나목1)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가목을 적용하여 산출한 지방교육세액을 해당

    취득세 감면율로 감면하고 남은 금액

    지방세법(2019. 12. 31. 법률 16855호로 개정되어 2020. 8. 12. 법률 17473호로

    개정되기 전의 )

    13(과밀억제권역 취득 중과)

    다음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부동산(「신탁법」에 따른 수탁자가 취득한 신탁재산

    포함한다) 취득하는 경우의 취득세는 11 1항의 표준세율의 100분의 300에서 중과

    기준세율의 100분의 200 세율(11 1 8호에 해당하는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에

    같은 1항의 표준세율과 중과기준세율의 100분의 200 합한 세율) 적용한다. 다만,

    - 27 -

    「수도권정비계획법」 6조에 따른 과밀억제권역(「산업집적활성화 공장설립에 관한

    률」을 적용받는 산업단지는 제외한다. 이하 28조에서 "대도시" 한다) 설치가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업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종(이하 조에서 "대도시 중과

    업종"이라 한다)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법인이 사원에 대한 분양

    또는 임대용으로 직접 사용할 목적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거용 부동산(이하 조에서 "

    사원주거용 목적 부동산"이라 한다) 취득하는 경우의 취득세는 11조에 따른 해당 세율을

    적용한다.

    1. 대도시에서 법인을 설립[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휴면(休眠)법인(이하 "휴면법인"이라 한다)

    인수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호에서 같다]하거나 지점 또는 분사무소를 설치

    하는 경우 법인의 본점·주사무소·지점 또는 분사무소를 대도시 밖에서 대도시로 전입

    (「수도권정비계획법」 2조에 따른 수도권의 경우에는 서울특별시 외의 지역에서 서울

    특별시로의 전입도 대도시로의 전입으로 본다. 이하 28 2항에서 같다)

    따라 대도시의 부동산을 취득( 설립·설치·전입 이후의 부동산 취득을 포함한다)하는

    경우

    지방세법 시행령(2017. 12. 29. 대통령령 28524호로 개정되기 전의 )

    27(대도시 부동산 취득의 중과세 범위와 적용기준)

    13 2 1호에 따른 대도시에서의 법인 설립, 지점·분사무소 설치 법인의

    ·주사무소·지점·분사무소의 대도시 전입에 따른 부동산 취득은 해당 법인 또는 행정안전부령

    으로 정하는 사무소 또는 사업장(이하 항에서 "사무소등"이라 한다) 설립·설치·전입

    전에 법인의 본점·주사무소·지점 또는 분사무소의 용도로 직접 사용하기 위한 부동산 취득(

    권을 보전하거나 행사할 목적으로 하는 부동산 취득은 제외한다. 이하 조에서 같다)으로

    , 같은 호에 따른 설립·설치·전입 이후의 부동산 취득은 법인 또는 사무소등이 설립·

    ·전입 이후 5 이내에 하는 업무용·비업무용 또는 사업용·비사업용의 모든 부동산 취득으로

    한다. 경우 부동산 취득에는 공장의 신설·증설, 공장의 승계취득, 해당 대도시에서의 공장

    이전 공장의 업종변경에 따르는 부동산 취득을 포함한다.

    수도권정비계획법

    6(권역의 구분과 지정)

    - 28 -

    수도권의 인구와 산업을 적정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수도권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1. 과밀억제권역: 인구와 산업이 지나치게 집중되었거나 집중될 우려가 있어 이전하거나

    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의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2018. 2. 9. 대통령령 28628호로 개정되기 전의 )

    9(권역의 범위)

    6조에 따른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의 범위는 별표 1 같다.

    [별표 1]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의 범위(9 관련)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1.
    서울특별시 (이하 생략) (생략) (생략)

    지방세기본법(2020. 12. 29. 법률 17768호로 개정되기 전의 )

    2(정의)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5. "납세고지서" 납세자가 납부할 지방세의 부과 근거가 되는 법률 해당 지방자치단체

    조례 규정, 납세자의 주소·성명, 과세표준, 세율, 세액, 납부기한, 납부장소, 납부기한

    까지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에 이행될 조치 지방세 부과가 법령에 어긋나거나 착오가

    있는 경우의 구제방법 등을 기재한 문서로서 세무공무원이 작성한 것을 말한다.

    18(신의ㆍ성실)

    납세자와 세무공무원은 신의에 따라 성실하게 의무를 이행하거나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55(납부불성실ㆍ환급불성실가산세)

    납세의무자가 지방세관계법에 따른 납부기한까지 지방세를 납부하지 아니하거나 납부하여

    세액보다 적게 납부(이하 "과소납부" 한다) 경우 또는 환급받아야 세액보다 많이

    환급(이하 "초과환급"이라 한다)받은 경우에는 다음 호의 계산식에 따라 산출한 금액을

    금액을 가산세로 부과한다. 경우 가산세는 납부하지 아니한 세액, 과소납부분(납부하여

    - 29 -

    금액에 미달하는 금액을 말한다. 이하 같다) 세액 또는 초과환급분(환급받아야 세액

    초과하는 금액을 말한다. 이하 같다) 세액의 100분의 75 해당하는 금액을 한도로 한다.

    1. 납부하지 아니한 세액 또는 과소납부분 세액(지방세관계법에 따라 가산하여 납부하여야

    이자 상당 가산액이 있는 경우 금액을 더한다) × 납부기한의 다음 날부터 자진납

    부일 또는 부과결정일까지의 기간 × 금융회사 등이 연체대출금에 대하여 적용하는 이자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자율

    57(가산세의 감면 )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또는 지방세관계법에 따라 가산세를 부과하는 경우 부과의

    원인이 되는 사유가 26 1항에 따른 기한연장 사유에 해당하거나 납세자가 해당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가산세를 부과하지 아니한다.

    지방세기본법 시행령(2018. 12. 31. 대통령령 29436호로 개정되기 전의 )

    34(납부불성실가산세ㆍ환급불성실가산세 등에 대한 이자율)

    55 1 1·2 56 2호의 계산식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자율"

    각각 1 1만분의 3 말한다.

    지방세기본법 시행령(2022. 6. 7. 대통령령 32665호로 개정되기 전의 )

    34(납부불성실가산세ㆍ환급불성실가산세 등에 대한 이자율)

    55 1 1·2 56 2호의 계산식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자율"

    각각 1 1십만분의 25 말한다.

    부칙 <29436, 2018. 12. 31.>

    1(시행일)

    영은 2019 1 1일부터 시행한다.

    2(납부불성실가산세 등에 대한 이자율에 관한 경과조치)

    시행 전에 55 1 또는 56조에 따른 납부불성실가산세ㆍ환급불성실가산세

    또는 특별징수납부 불성실가산세를 부과해야 하는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34조의 개정

    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 30 -

    지방세징수법

    12(납세의 고지 )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방세를 징수하려면 납세자에게 지방세의 과세연도ㆍ세목ㆍ세액

    산출근거ㆍ납부기한과 납부장소를 구체적으로 밝힌 문서(전자문서를 포함한다. 이하

    ) 고지하여야 한다.

    ()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